본문 바로가기
여행

정조대왕의 효심을 느끼며 걷는 '융건릉' 산책

by 밀알 님 2025. 4. 12.

융릉과 건릉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하고 있는 '융건릉'은 조선 제22대 국왕인 정조대왕의 아버지인 사도세자(장조, 추존왕)와 어머니 헌경황후

(혜경궁 홍씨)의 능인 '융릉', 그리고 정조대왕과 그의 왕비 효의왕후 김씨의 능인 '건릉'을 합쳐 부르는 이름입니다. 

 

융건릉은 자연경관이 매우 아름다워 시민들의 산책 명소로도 유명하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어서 역사적·문화적 가치가 매우 큰 유적지입니다. 능 주변에는 정조대왕이 아버지 사도세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창건한 사찰인 용주사가 있는데, 

2km 이내에 위치하고 있어서 함께 돌아보기에 좋습니다.

용주사



■ 융릉 | 아버지인 사도세자를 모심
어려서부터 총명했던 사도세자는 왕세자로서의 뛰어난 면모를 갖추고 있어서 아버지 영조의 기대가 매우 컷습니다. 영조를 대신하여 대리청정으로 정사를 돌보게되자, 사도세자를 경계하는 세력과 대립하게 되었고 영조와도 자주 불화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립세력들이 사도세자의 비행을 고발하자 영조는 크게 노하여 고발자를 처형하고 사도세자에게 자결할 것을 명하고 사도세자를 왕세자에서 폐위한 후 뒤주에 가두어 죽음에 이르게 합니다.

사도세자가 세상을 떠나자 양주 배봉산(현재의 서울 동대문구)에 묘를 조성하였는데, 정조대왕이 왕위에 오른 후 수원 화산(현재 경기 화성시)으로 묘를 옮기게 되었고, 혜경궁 홍씨가 세상을 떠나자 합장을 하게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융릉(사도세자 능)



■ 건릉 | 부모님 곁에 있고 싶은 정조대왕의 마음
정조대왕과 왕비인 효의왕후의 능으로,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왕릉 양식을 따르고 있는 조화롭고 장엄한 분위기의 합장능입니다. 

정조대왕은 할아버지인 영조가 세상을 떠나자 왕위를 계승하며, 재위기간 동안 아버지 사도세자의 명예를 회복하는 일에 노력하였고, 끊임없이 왕권을 위협하는 세력들이 있어 이들을 제거해 나갔습니다. 왕권 강화를 위해 영조의 탕평책을 계승하여 당파와 상관없이 능력과 학문을 통해 인재를 등용하였습니다. 또 규장각을 설치하여 학문연구에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정조대왕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현재의 위치로 옯긴 후 1년에 1차례 이상 참배를 하였습니다. 아버지 묘를 참배하고 한양의 궁으로 돌아가면서도 아버지를 그리워해서, 수원을 벗어나는 지역에서 아버지 묘 방향을 뒤돌아보며 그 발걸음이 지지부진 했다고 하여 '지지대고개'라는 지명이 있을 정도로 정조대왕의 효심을 지역 곳곳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정조대왕이 세상을 떠나자 융릉의 서쪽에 모시고, 이후 부인인 효의황후를 합장하였습니다

정조대왕 능


○ 관람 정보
    > 관람 시간: 09:00 ~ 18:00 (입장 마감 17:00)
                       오픈시간은 동일하나 
                       종료시간은 하절기(6월~8월)에는 30분 연장하며, 동절기(11월~1월)에는 30분 단축합니다
    > 휴무일: 매주 월요일(공휴일과 겹치면 다음날이 휴무일)
    > 입장료: 일반관람권 1,000원(화성시민 500원) / 24세이하 및 65세 이상 무료
    > 주차 가능: 무료
    > 해설 프로그램: 문화해설사의 해설을 들으며 관람하면 더욱 깊이 있는 역사 이해가 가능합니다.

 

○ 오시는 길
    > 대중교통(버스정류장 명칭 : ‘융건릉')
        • 1호선 병점역 2번출구 → 34, 34-1, 35-1, 46, 50번 버스 이용 (15분 소요)
        • 수원의 북문, 남문, 수원역에서 46번 버스 이용 (40분 소요)
        • 수원 신영통, 영통, 화성시 봉담에서 34, 34-1번 (30분 소요)

    > 승용차
        • 1번국도 병점육교(화성시 병점동) → 용주사 → 융건릉
        • 경부고속도로(신갈IC) → 수원시내 진입, 동수원사거리 좌회전 → 병점사거리 우회전 → 병점육교 → 용주사 → 융건릉
        • 영동고속도로(동수원IC or 북수원IC) → 수원시내 진입, 수원역 지하차도 발안/남양 방면 우회전

           → 오목천삼거리 좌회전 → 수영사거리 → 융건릉
        • 외곽순환도로(산본IC) → 과천-봉담 간 고속국도 종점 → 수영사거리 → 융건릉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문화유산 "수원 화성"을 소개합니다  (8) 2025.04.09
서유럽과 동유럽 여행경비 비교  (4) 2025.03.31